티스토리 뷰
연가보상비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가보상비 계산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알려드릴 것은 공무원 연가일수입니다. 공무원도 일반 기업과 마찬가지로 근무 재직 기간에 따라서 연가 일수가 생긴다고 하지만 3월~6월부터 시작을 하여서 6년 이상까지 근무를 했을 때 연가일수가 생기는 부분이라고 합니다.
연가보상비 계산방법 01
신입 임용자의 경우는 6월 이상 근무를 하였을 때 연가일수가 생긴다고 합니다. 이때 신입 임용자의 경우는 6월 이상 근무를 했을 때까지 연가를 사용하지 못하는지에 대하여 궁금하실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추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연가보상비 계산방법 02
다음은 공무원 연가 사용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히 보면 기본적으로 공무원 1인당 평균 연가 사용일 수는 10일이었고 연가사용 비율은 48.5%로 기록이 되었다고 합니다. 공무원 휴가는 해를 거듭할수록 사용 일수가 늘고 있습니다. 2014년에는 9.3일이었고 2015년에는 10일이었다고 합니다.
연가보상비 계산방법 03
연가보상비라는 것은 업무와 해당 근무지의 상황에 따라 연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연가일수를 1년 안에 소진하지 않게 되면 공무원 연가보상비가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공무원 연가보상비는 예산 범위 안에서 20일 이내의 잔여 연가일수를 위와 같이 계산해서 지급된다고 합니다.
연가보상비 계산방법 04
연가보상비 계산법은 위를 보면 알 수 있는 부분으로 한 예로 들어보자면 7월 1일부터 임용된 군필자 신규 임용 9급이 10월 1일부터 연차 사용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연말까지 연차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보상비는 군필자이기에 2년이라는 호봉을 인정받아 연가는 12일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6개월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라서 6일치에 해당이 되는 연가보상비를 지급받는 것도 추가로 알려드립니다.
글의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