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국세청 홈택스'를 인터넷에 검색해준 뒤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해주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01
지금은 연말정산자료 제출 기간이 지났기 때문에 연말정산 메뉴는 안 나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되면 오른쪽 상단 로그인을 클릭해줍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02
연말정산 환급금 계산은 공인인증서가 꼭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다음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선택해준 뒤 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03
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되면 왼쪽의 연말정산을 클릭해줍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04
연말정산 환급금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가운데에 있는 예상세액계산하기 메뉴를 눌러줍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05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쪽에서 2가지 방법 중 선택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연말정산간소화 자료 선택은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기초로 계산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또한 공제 신고서 작성하기는 모든 항목을 새로 작성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당연히 간소화 자료를 기초로 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저는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선택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화면에서 연말정산간소화 자료 선택 메뉴를 눌러줍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06
중간에 있는 하늘색인 네모칸을 모두 눌러주게 되면 간소화 자료 제출 금액들이 모두 조회된다고 합니다. 그 후에 상단의 예상세액계산 메뉴를 눌러준 뒤 다음 화면으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07
이쪽에서 세 가지 메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직 회사가 등록한 자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일 수도 있기 때문에 세 번째 메뉴인 총 급여, 기 납부세액 수정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오셨으면 새 창이 하나 뜨게 됩니다. 여기는 해당하는 금액을 직접 입력해주셔야 한다고 합니다. 첫 번째 칸은 총 급여액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총 급여액은 급여명세서상 1월~12월까지 합산한 총 급여에서 비과세소득인 식대나 차량 지원금 등을 차감한 금액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그 아래에 근로소득공제 금액과 근로소득 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돼서 표시된다고 합니다. 두 번째 칸은 급여명세서상 1년간의 소득세 금액을 합산하여 넣어주시면 됩니다. 해당 소득세는 지방 소득세는 제외한 금액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적용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총 급여와 소득세를 입력하면 이전 창의 내용이 이렇게 바뀌게 됩니다. 또한 7번에 일 차감 징수 납부 예상세액에 금액이 표시되어 있을 텐데 저 금액이 마이너스 금액이면 이번 연말정산에서 환급금이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플러스 금액이라면 세금을 더 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미 제출된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기반으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했기 때문에 추가로 제출한 자료에 대해서는 수정해주셔야 한다고 합니다.
아래로 내려가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간소화 자료로 적용된 금액들이 적혀있다고 합니다. 빨간 네모에 있는 메뉴로 모든 금액들을 수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니 회사에 추가적으로 제출한 부분들을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수정을 할 때마다 7번 항목에 차감 징수 납부 예상세액의 금액이 바뀌게 됩니다. 마지막까지 최종 수정한 후의 7번 항목의 차감 징수 납부 예상세액 이 이번 연말정산에서 환급받으시거나 추가로 납부해야 할 금액이라고 합니다.
글의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