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등학교 무상교육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등학교 무상교육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올해 교육과정에 있어지는 정책이 많은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먼저 고등학교 무상교육이 올해는 고3, 고2까지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정책이 바뀌었다고 하니 구체적으로 무슨 변화가 있었는지도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01
첫 번째로 고등학교 무상교육입니다. 2019년 말부터 고3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무상교육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먼저 입학금, 수업룔, 학교 운영비, 교과서비 포함 총 160만 원 정도까지 지원하는 이 정책은 그 이후로 올해에는 고2까지 확대하였다고 합니다. 2021년쯤에는 고1을 포함하여 고교 3년제 해당하는 전 학년으로 대상이 확대된다고 하기 때문에 고등학생 자녀를 두고 계신 학부모님들은 부담이 덜 하실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02
두 번째로 고등학교 과제형 수행평가 금지입니다. 작년에는 수행평가가 교과 수업 중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세부적인 사항은 각 시, 도 교육청의 학업성적관리 지침에 따라 다른 걸로 따랐다고 하지만, 올해부터는 정규교육과정 외에 학생이 수행한 결과물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금지하는 것으로 정해졌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고등학생들의 마음이 한결 편해질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03
세 번째로 고교 학점제 도입입니다. 우선 기반 조성 고교 학점제란 학생이 원하는 진로에 맞춰서 과목을 선택하여 받은 점수가 누적이 돼서 기준에 닿거나 넘으면 졸업을 인정하는 제도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작년에는 고교 학점제 운영 및 선도학교를 354교 정도를 선정하였고, 특성화 학교도 211교 정도 선정하여 시행했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올해에는 더욱 확대해서 고교 학점제 운영 및 선도학교 600교 내외로, 특성화 학교 300교 내외로 선정했다고 합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04
또한 지역 학교 간에는 교육청, 지자체, 지역 대학들이 협력하여 고교 교육의 혁신을 추진된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교육 소외지역에도 고교 학점제를 도입한다고 하니 학생들이 원하는 진로에 한걸음 다가가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05
네 번째로 마이스터고 학점제 도입입니다. 우선 일반고뿐만 아니라 마이스터고 같은 특목고도 51개교를 선정해서 올해 3월부터 도입을 시행된다고 합니다. 또한 전 학년이 아닌 고1부터 우선 적용된다고 하니 이번부터 입학하는 학생들에게는 좋은 학교생활 시작의 발판이 될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06
다섯 번째로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 지원입니다. 작년에는 직업 관련된 교육을 받고 난 뒤 중소, 중견기업에 취업한 학생에게 3백만 원을 지원해주었다고 하지만 올해 10월부터는 최대 4백만 원까지 지원된다고 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진로에 안 맞거나 좋은 조건이 없는 이유로도 많이 취업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추세라고 하니, 취업도 하고 장려금도 받을 수 있어 좋은 기회이니 취업하는 데 있어 좋은 독려가 될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07
여섯 번째로 직업 계고 현장실습 수당 확대입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학생에게는 1회에 한해서 20만 원을 지원해주었다고 하지만, 올해 3월부터는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동안 달마다 60만 원을 수당 지원된다고 합니다. 또한 지금까지의 현장실습은 학생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기도 하고 기업을 우대하는 실습으로 보이기 때문에 학부모님들의 걱정도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교육부에서는 직업 계고에 전담 노무사를 지정해서 실습환경 개선에 나섰다고 합니다. 또한 현장실습을 선택제로 돌려 한 과목처럼 되었기 때문에 고교 학점제를 도입하는 지금엔 강제는 아니어서 안심하셔도 된다고 합니다.
글의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