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nformation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확인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급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은 대부분 월급을 받을 것입니다. 하지만 책정 금액에서 일정한 금액을 차감한 뒤 수령하게 된다고 합니다. 자세히 알아보면 4대 보험 및 소득세, 지방 소득세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각 항목마다 요율이 다르게 적용된다고 합니다.

소득세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01

소득세의 경우는 수입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세율이 다르게 적용된다고 합니다. 현재 소득세율은 6%에서 42%까지 분류되기 때문에 상당히 다양하다고 합니다. 당연히 근로소득 세액공제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계산방법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02

급여 소득세 계산은 부양 가족수와 20세 이하 자녀 수에 따라서도 변동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국세청의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기준으로 계산된다고 합니다.

요점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03

보통은 표를 참고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고 하지만 전용 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이 더 정확하기 때문에 계산기를 활용한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월급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04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하여 인크루트를 검색해 준 다음 사이트에 접속해 준 뒤 처음으로 뜨는 화면에 보면 아래와 같이 연봉계산기라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을 눌러주신 뒤 들어가줍니다.

실수령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05

급여 소득세를 계산하기 위해서 아래의 조건을 하나씩 체크 및 기입해 주시면 됩니다. 그 후 모두 확인하셨으면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일급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06

예를 들어 월급이 350만 원이라고 했을 시 부양가족 2명에 20세 이하 자녀가 1명이라고 하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실수령액은 약 313만 원 정도인데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으로 나가는 금액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소득세의 경우는 6만 5천 원 정도로 나오게 됩니다.

금액

급여 소득세 계산방법 07

이렇게 계산기를 이용해서 최종 실수령액을 알수 있습니다.

글의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