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품질관리자 배치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일정한 공사 규모 이상이 될 경우 필수로 품질관리자 배치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품질관리자 배치기준 01
먼저 품질관리자의 배치 기준을 살펴보자면 아래 사진을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역량지수의 중요성 02
각각의 공사 규모 또는 시험실의 규모에 따라서 본인에게 맞는 자격증을 따야 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건설 기술인 자격증을 따려면 경력이나 학력 같은 부분으로 역량지수를 갖춰야 한다고 합니다.
품질관리자 선임기준 03
품질관리자 선임 기준에 맞는 기술자 수첩을 준비하고자 할 때 초급이나 중급 또는 고급, 특급 같은 다양한 부분으로 나눠서 규모에 알맞은 자격을 갖추셔야 합니다. 여기서 초급의 경우 35점이며 중급의 경우 55점입니다. 그리고 고급은 65점이며 특급은 75점으로 해당하는 지수를 갖추어야 한다고 합니다.
품질관리자 학력점수 04
학력 점수의 경우 관련 전공은 20점이며 2년제의 경우 18점입니다. 그리고 특목고의 경우 15점이라고 합니다. 경력점수가 있을 경우 학력 점수만 있어도 가능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산업기사보다 높은 자격을 취득하신 뒤 초급 또는 중급을 노려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품질관리자 졸업장 기간 05
관련된 학과의 졸업장은 어느 정도까지 걸리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약 학사학위로 진행할 경우 총합 140학점을 취득해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과목마다 3학점씩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으로 총합 47개의 과목을 들어야 한다고 하니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품질관리자 준비기간 06
위와 같이 진행할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을 기준으로 하게 되면 온라인을 통해서만 3년 반 정도만에 준비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학점인정 자격증 또는 독학학위제를 같이 해주신다면 5학기 안에도 준비를 할 수 있다고 하니 참 좋은 것 같습니다.
휴학생의 경우 07
추가로 휴학생이거나 자퇴생 또는 전문대 졸업생에 해당된다면 관련된 전공이 아닐지라도 어느 정도 이상은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어서 기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고 하니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품질관리자 배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평소에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셨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