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습관성 어깨 탈골 원인
습관성 어깨 탈골 01
먼저 특별하게 어깨와 관련된 질환이 없는데도 어깨 탈골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우리 몸의 어깨관절은 360도까지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관절이기 때문에 운동 범위가 넓어서 어깨가 빠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습관성 어깨 탈골 원인 02
우선 어깨 탈골의 경우 두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첫 번째로 선천적인 영향으로 어깨가 불안정적인 경우가 있고, 두 번째로 외부적인 충격을 받아서 탈골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문제는 평소에 생활하면서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어깨가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해 탈구되는 외상성 탈골 입니다. 이는 어깨가 한번 탈골될 경우 습관성 어깨 탈골까지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고 합니다.
습관성 어깨 탈골 03
그리고 탈골이 되었다고 해서 바로 습관성 어깨 탈구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하지만 20대 이전 어깨 탈골이 발생됐을 경우 습관성 어깨 탈골까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또한 처음에 어깨가 탈골됐을 경우 본인이 직접 탈골된 어깨를 맞추려고 하다가 주위 연골까지 손상되면서 습관성 어깨 탈골까지 발전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습관성 탈골 기준 04
습관성 탈골의 기준은 정확하게 몇 번 이상 탈골돼야 습관성이라는 정해진 규정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보통 2회 이상 자주 빠지는 경우 습관성에 해당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습관성 탈골의 주요 증상은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증상 05
일반적인 어깨 탈골이 발생될 경우 처음엔 팔이 빠지는듯한 느낌이 들면서 어깨 쪽에 심한 통증이 느껴지면서 팔이 아래로 처지게 됩니다. 반면에 습관성 어깨 탈골의 경우 통증이 크게 느껴지지 않으며 삼각근 쪽이 오목하게 들어간다고 합니다.
유의사항 06
어깨가 탈골이 자주 발생될 경우 주변 신경계와 혈관들이 함께 손상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어깨 또는 팔 부위 쪽에 감각이 둔해질 수 있고, 더 심각해질 경우 마비가 오거나 피멍이 드는 혈관질환까지도 번질 수 있다고 합니다.
올바른 치료 07
그렇기에 어깨 탈골이 발생할 경우 즉시 전문가를 찾아서 빠진 어깨를 정상 위치로 돌려놓아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 후 필요할 경우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어깨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해서 어깨를 단련시키는 방법을 해주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습관성 어깨 탈골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평소에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셨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